[오마이뉴스]서문과 국정화 찬성 칼럼 사이

[주장] ‘경제 자유’ 말한 자유경제원장, 논리 뒤집으며 ‘국정화 찬성’ 주장

지난 16일 기사 <싸이, 노벨상, 캣맘… ‘기레기’는 살아있다>에서 이미 지적한 것처럼, 2015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앵거스 디턴(Angus Deaton)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의 이론에 대해서 국내 일부 언론은 거의 ‘오보’에 가깝게 소개했다.

소위 보수 경제지들이 올해 노벨경제학상 수상자가 ‘불평등이 성장의 동력’이라는 이론을 주장했다고 곡해했다. 그러면서 ‘평등’을 주요하게 다룬 책 <21세기 자본>의 토마 피케티와 정반대되는 앵거스 디턴의 이론에 노벨위원회가 손을 들어줬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후 몇몇 보도를 통해 분명히 확인된 것처럼, 앵거스 디턴은 단순히 불평등을 옹호하는 입장이 아니다. 노벨 경제학상 수상 이후 앵거스 디턴은 첫 공개 발언에서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맥락에서 불평등이 확대되는 현재의 추세는 매우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또 국내 일부 언론과는 달리 해외 언론들은 토마 피케티의 저작이 앵거스 디턴의 연구에 빚지고 있으며, 두 학자의 연구는 ‘상호 보완적인 관계’라고 소개했다.

<위대한 탈출> 서문 왜곡 논란, 회수하고 새로 번역하기로

기사 관련 사진
 <한국경제> 기사 ‘노벨경제학상에 <위대한 탈출> 저자 앵거스 디턴'(2015/10/13) 페이지 갈무리
ⓒ 한국경제신문

관련사진보기

과연 어떤 의도나 목적이 있지 않고서야 이렇게 엉뚱하게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의 이론을 소개할 수 있을까? 그런데 앵거스 디턴의 책 중에서 유일하게 국내에 번역 출간(2014년 9월)된 <위대한 탈출>의 출판사가 바로 <한국경제신문>(아래 <한경>)이다. 이와 관련해 국내 경제학자 중에서 의혹을 제기한 이가 있었고, 구체적으로 어떤 부분이 이상한지를 블로그에 정리하기도 했다.

기사 관련 사진
 앵거스 디턴의 책 중 한국에서 유일하게 번역 출간된 <위대한 탈출> 표지
ⓒ 한국경제신문 출판부

관련사진보기

기사 관련 사진
 <한겨레> 경제사회연구원 김공회 연구위원 블로그 갈무리
ⓒ 김공회

관련사진보기

이렇듯 상황이 심상치 않게 돌아가자 <한경> 출판사는 지난 20일 ‘앵거스 디턴의 <위대한 탈출> 번역 왜곡 논란에 대한 출판사의 입장 전문’을 자사 블로그에 게재한다. 그 내용을 한마디로 정리하면, 기술적인 누락(편집상의 문제)은 인정하면서도 “왜곡의 의도나 시도는 없었다”는 것이다.

<한경>은 “논란이 일어난 만큼 부제는 원제 그대로 살리고, 빠진 부분을 되살려서 완역본을 준비하겠다”는 입장을 발표했다. 그러나 이후에도 <위대한 탈출> 원문 왜곡 논란은 사그라들지 않았고 오히려 더 많은 누락·변형 의혹이 제기됐다. 마침내 프린스턴대 출판부와 앵거스 디턴 교수의 공식 입장이 발표된다.

기사 관련 사진
 프린스턴대 출판부의 입장 발표 화면 갈무리
ⓒ Princeton University

관련사진보기

기사 관련 사진
 칼폴라니사회경제연구소 정태인 소장 페이스북 갈무리
ⓒ 정태인

관련사진보기

결국 <한경> 출판사가 번역 출간한 앵거스 디턴의 <위대한 탈출>은 아예 ‘회수’가 되어야 할 정도로 완전히 엉뚱한 번역이었음이 드러났다. 앵거스 디턴이 노벨 경제학상을 받자 <한경>이 ‘토마 피케티의 <21세기 자본> 주장과 정반대’라고 난리를 쳤던 것도 (프린스턴대 출판부와 디턴의 공식 입장에 비춰보면) 전혀 근거 없는 얘기인 셈이다.

여기서 우리는 (앵거스 디턴과 프린스턴대 출판부의 허락을 받지 않은) <한경>의 <위대한 탈출> ‘한국어판’ 서문을 주목해야 한다. ‘피케티 vs 디턴, 불평등을 논하다’라는 제목의 이 서문은 (프린스턴대 출판부와 앵거스 디턴의 공식 입장에 따르면) “다른 불평등에 관한 저작과 대비해서 읽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그리고 ‘토마 피케티의 <21세기 자본> 주장과 정반대’라는 <한경> 보도의 근거라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경제 자유’ 말한 자유경제원장, 논리 뒤집으며 ‘국정화 찬성’ 주장

기사 관련 사진
 앵거스 디턴 <위대한 탈출> 한국어판 서문 갈무리
ⓒ 한국경제신문 출판부

관련사진보기

기사 관련 사진
 경제학자 오석태 페이스북 갈무리
ⓒ 오석태

관련사진보기

기사 관련 사진
 <조선일보> 칼럼 <‘공급자 입맛대로’ 좌편향 역사 교과서>(2015/10/07) 갈무리
ⓒ 조선일보

관련사진보기

보다시피 <위대한 탈출> 한국어판 서문을 쓴 사람은 ‘좌편향 역사 교과서’ 운운하며 <조선일보>에 역사 교과서 국정화 지지 칼럼을 쓴 인물이다. 프린스턴대 출판부와 앵거스 디턴에 의해 ‘제거되어야 할’ 서문으로 지목받은 글을 쓴 사람과 보수언론에 역사 교과서 국정화 지지 글을 쓴 사람이 ‘동일인’이라는 사실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현 원장이 쓴 ‘자유경제원’ 인사말에는 “한국이 선진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정부 개입적 정책이 아닌, 경제 자유를 높이는 것입니다”라는 구절이 있다. 자신이 쓴 <위대한 탈출>의 서문에서도 “피케티가 주장한 바대로 부유층의 부를 억제하는 세금정책을 펴면, 국가의 경제성장은 퇴보할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하지만 앵거스 디턴은 “경제적 불평등이 점점 심해질수록, 민주주의에 대한 위협은 더욱 커진다. 민주주의가 위태로워지면, 삶의 질은 직접적으로 타격을 받는다”고 말한다. 그렇기 때문에 단순히 정부 개입 반대나 조건 없는 경제 자유 확대는 디턴의 이론과 근본적으로 차이가 있다. 게다가 <위대한 탈출>의 원래 부제목은 ‘건강과 부, 그리고 불평등의 기원(Health, Wealth, and the Origins of Inequality)’으로(디턴은 이 책에서 건강과 부의 증대가 불평등의 원인이기도 함을 보여준다), 한국어판의 부제목 ‘불평등은 어떻게 성장을 촉발하나’와도 그 지향점이 확연히 다르다.

한편 현 원장은 <조선일보> 칼럼을 통해 “역사 교과서 시장은 시장실패가 발생한 영역”이라며 “시장 실패를 정부 개입으로 교정할 때가 되었다”라고 말한다. 하지만 단지 경제적 문제라고만 볼 수가 없는 ‘역사 교과서 국정화’를 지극히 경제학적 관념인 시장 실패와 정부 개입의 논리를 중심으로 설명하려는 시도 자체가 일단 부적절하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시장 실패나 정부 개입은 피케티가 말한 세금 정책이나 디턴이 지지하는 최저임금 인상 등과 궤를 같이한다. 그러므로 (경제와 별로 상관도 없는) 역사 교과서 국정화를 지지하는 칼럼에서 본래 자신의 주장(자유시장경제를 중시하며 시장 개입 정책을 비판)과도 맞지 않는 논리를 억지로 끌어다 붙인 것부터가 난센스에 가깝다. 한마디로 어이없는 곡학아세인 셈이다.

이전 기사에서 말했듯이 지금도 기사 내용을 못 믿는 건 물론이고 도대체 책의 번역이 정확히 됐는지도 의심스러울 정도다. 앞으로 아이들은 권력층의 입맛에 맞는 국정교과서로 역사를 배우고 어른들은 도무지 신뢰하기 힘든 번역서를 계속 보게 된다면, 우리 사회의 불통과 단절은 날이 갈수록 점점 더 심해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의 국내 번역본에 누락과 변형이 가해진 것(또 이를 바탕으로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의 이론을 국내 언론이 엉터리로 소개하는 것)과 수많은 역사학자와 시민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기어이 역사 교과서 국정화를 강행하려는 것, 이 둘을 과연 동떨어진 일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결국 같은 목적을 가진 행위이고, 바로 지금 이 순간 한국사회에서 전방위적인 ‘왜곡’이 일어나고 있다는 증거는 아닐까.

편집ㅣ김준수 기자
원글은 오마이뉴스에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

댓글 남기기